서울특별시에서 시행하는 에코마일리지 자동차 제도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동차 운행거리를 줄이고, 이를 통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감축하는 데 기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제도에 참여하면 감축 정도에 따라 마일리지를 제공받아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에코마일리지 제도 개요
제도의 목적
에코마일리지 제도는 자동차 운행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이를 참여자에게 보상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로 인해 서울 시민들은 건강한 환경을 만드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참여대상
서울특별시에 등록된 12인승 이하 비사업용 승용차 및 승합차 소유자가 참여할 수 있으며, 1인 다 차량 등록이 가능합니다. 공동 소유의 경우 대표자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참여 효과와 마일리지 적립 방법
참여 효과
- 주행거리 및 탄소배출량 확인: 개인의 차량 주행거리와 탄소배출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일리지 적립: 주행거리 감축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 환경 보호: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환경 보호에 기여하게 됩니다.
마일리지 적립 방법
- 정기 마일리지: 1년 단위로 주행거리 감축 정도에 따라 2만에서 7만 마일리지를 차등 지급합니다.
- 지속(유지) 마일리지: 서울시 연평균 주행거리 이하로 운행 시 1만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마일리지 지급 기준
감축률(%) 또는 감축량(km) | 인센티브 (정기 마일리지) |
---|---|
0~10% 미만 | 2만 마일리지 |
10~20% 미만 | 3만 마일리지 |
20~30% 미만 | 5만 마일리지 |
30% 이상 | 7만 마일리지 |
감축률 0% 미만인 경우 | 1만 마일리지 |
마일리지는 매달 홀수 달에 평가 후 지급되며, 5월에는 계절관리제 평가 일정과 겹쳐 6월로 연기됩니다.
감축률 계산 방법
- 감축률 계산: (기준 주행거리 – 해당 연도 주행거리) ÷ 기준 주행거리 × 100
- 감축량 계산: 기준 주행거리 – 해당년도 주행거리
기준 주행거리는 최초 가입 시 자동차 등록일로부터의 연평균 주행거리로 설정되며, 2년차 이후에는 누적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참여 방법
- 차량 정보 등록: 에코마일리지 등록 후, 주행거리 최초 등록을 위해 차량번호판 및 계기판 사진을 제출해야 합니다.
- 등록 승인: 관할 구청 주민센터의 심사를 통해 승인받아야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주행거리 감축 실천: 가입 후 1년간 실천해야 합니다.
- 감축 실적 등록: 1년 후 주행거리 실적을 홈페이지에 등록합니다.
- 감축 실적 심사: 제출한 사진 기반으로 감축률을 평가합니다.
- 마일리지 지급: 지급받은 마일리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를 통해 서울 시민들은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에코마일리지를 어떻게 신청하나요?
에코마일리지는 서울시 홈페이지 또는 구청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차량 정보를 등록한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2: 마일리지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적립된 마일리지는 현금, 상품권, 관리비 납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주행거리 감축 실적은 어떻게 평가되나요?
주행거리 감축 실적은 기준 주행거리 대비 실제 주행거리를 계산하여 평가하며, 제출한 사진의 촬영일을 기준으로 일할 계산됩니다.
질문4: 에코마일리지의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무엇인가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12월부터 3월까지 서울시 평균 주행거리의 50% 이하로 운행할 경우 추가로 1만 마일리지를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질문5: 마일리지 지급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마일리지는 매달 홀수 달에 평가 후 지급되며,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하동 삼성궁, 가을의 신비로운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