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서치콘솔 ‘액세스 금지(403)’ 문제 해결하기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서치콘솔 ‘액세스 금지(403)’ 문제 해결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구글 서치콘솔에서 ‘Blocked due to access forbidden (403)’라는 메시지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구글봇이 웹사이트에 접근을 시도했지만 서버에서 접근이 거부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글에서는 403 오류의 의미와 발생 원인, 진단 방법, 해결책 및 재발 방지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안내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403의 의미: 왜 ‘차단됨’으로 보일까

‘Blocked due to access forbidden (403)’ 오류는 구글봇이 요청을 했으나 서버가 이를 거부했음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이 오류는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리소스에서 발생합니다. 구글봇은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서버가 비로그인 사용자에게 잘못된 거부를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해당 URL은 색인되지 않으며, 이 오류는 ‘페이지가 없음’이 아니라 ‘접근 거부’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403이 뜨는 핵심 원인 9가지

원인 설명
보안/WAF·CDN 규칙 차단 Cloudflare와 같은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이나 봇 차단 기능이 구글봇을 차단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서버/호스팅 레벨 차단 방화벽이나 IP 차단으로 인해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이 제한되는 경우입니다.
인증이 필요한 페이지 로그인 또는 회원 전용 페이지에 대한 접근이 구글봇에 의해 거부됩니다.
robots.txt/정책 혼선 robots.txt 파일의 잘못된 설정이나 서버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규칙 충돌 보안 플러그인이나 .htaccess 파일에서의 규칙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수동 검사 UA 차단 서치콘솔의 수동 검사에서 사용된 User-Agent가 WAF 규칙에 걸리는 경우입니다.
파일 권한·퍼미션 오류 서버에서 특정 경로에 대해 403 응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robots 리소스 접근 문제 사이트맵 또는 robots.txt 호출 시 간헐적으로 403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도적 차단 비공식적으로 접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 403 오류가 의도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빠른 진단: 서치콘솔·실시간 테스트·헤더 확인 루틴

  1. 서치콘솔 페이지 색인 보고서에서 403 오류가 발생한 URL을 확인하고, ‘URL 검사’ 기능을 사용하여 실제 접근성을 검증합니다.
  2. 응답 헤더와 상태 코드를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나 CLI(curl)를 통해 점검합니다. 이때, 공개 페이지가 익명 요청에서 200을 반환하는지 확인합니다.
  3. WAF/방화벽 로그에서 해당 시간대와 User-Agent를 교차 확인하여 차단 이벤트를 점검합니다. 이벤트가 없다면 원본 서버에서 403 응답을 반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인별 해결책: 설정·보안도구·운영 체크리스트

공개 대상 페이지에서 403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점검 및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 WAF/봇 차단 해제 테스트: Cloudflare의 보안 규칙을 완화하고, googlebot UA 또는 ASN을 허용하는 예외 규칙을 추가합니다.
  2. 서버/원본 점검: 방화벽이나 보안 모듈이 익명 접근을 차단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로그에서 403 오류가 기록되었다면 원본 정책 문제일 수 있습니다.
  3. 인증 요구 제거: 공개 게시글이나 이미지를 인증 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실무에서 많이 쓰는 원인→조치 매핑

증상 가능 원인 조치
특정 경로만 403 경로 기반 룰 차단 해당 경로 예외 추가 후 재검증
수동 검사만 실패 수동 검사 UA가 WAF에 걸림 도메인 수준 완화 후 재시도
간헐적 403 일시적 네트워크 문제 서버 리소스 점검
robots/sitemap 호출에 403 보안 정책 차단 robots.txt와 sitemap.xml의 접근 보장

티스토리 특화 설정 점검 포인트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서버 루트나 .htaccess 파일을 직접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관리 화면과 플러그인에서 다음 사항을 점검해야 합니다.

  • 구글 서치콘솔 플러그인 연결: 플러그인에서 계정 연결 후 서치콘솔 속성을 연동합니다.
  • 공개 범위 점검: 비공식적 접근 제한이 없는지 확인하고, 공개 대상 페이지는 반드시 익명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 외부 보안도구 연동 여부: Cloudflare와 같은 보안 프록시를 사용할 경우 구글봇의 접근이 차단되지 않도록 예외를 설정합니다.

재발 방지 운영 전략: 로그·모니터링·검증 사이클

  1. 정기 로그 리뷰: 403 오류 비율과 googlebot UA를 주 단위로 점검합니다.
  2. 변경 관리: 스킨이나 보안 룰 변경 시 샘플 URL로 즉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3. 서치콘솔 루틴: 색인 보고서에서 403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원인 조치 후 ‘수정 검증’으로 클로징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403이 뜨면 SEO에 큰 타격인가요?

A. 공개 대상 URL이 403이면 해당 URL은 색인되지 않아 트래픽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의도적 비공개라면 문제가 없습니다.

Q2. ‘실제 URL 테스트’는 왜 실패하는데, 자연 크롤은 되나요?

A. 수동 검사 UA가 WAF 규칙에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테스트 시 일시 완화하거나 예외를 설정해 보세요.

Q3. 티스토리에서 .htaccess를 못 만지는데 403을 어떻게 풀죠?

A. 먼저 티스토리 공개 설정과 플러그인 연동을 점검하고, 별도 CDN/WAF에서 예외를 추가합니다.

Q4. robots.txt가 403과 관련 있나요?

A. robots.txt가 직접적인 403 원인은 아니지만, 서버 상태와 혼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항상 정상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Q5. 사이트맵도 403이면 어떻게 하나요?

A. sitemap.xml은 반드시 익명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보호 설정을 해제해 200 응답을 보장해야 합니다.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403 오류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글: 현대카드 슈퍼매치 14 티켓팅을 위한 공식 사이트 방문 가이드